Ⅰ. 세계경제1. 주요국 경제동향(미국) 소비와 고용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세가 주춤* 2020.12월중 취업자수는 5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유로지역)소비 부진으로 경기가 둔화(중국)내수와 수출 모두 견조한 회복세를 지속(일본)미약한 경기흐름을 지속2. 국제유가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당 50달러대 중반 수준으로 상승백신 접종 개시로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OPEC+의 생산량 조절, 미 원유생산 감소 등으로 수급 상황도 개선* OPEC+는 21.1월 이후 당초 계획(190만배럴 증산)을 크게 하회하는 50만…
1. 12월 수출입 개요(수출) 12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2.6% 증가한 514.1억달러* 수출 증감률(%):(2019.12)△5.3→(2020.1)△6.6→(2)+3.6→(3)△1.7→(4)△25.6→(5)△23.8→(6)△10.9→(7)△7.1→(8)△10.3→(9)+7.2→(10)△3.8→(11)+4.1→(12)+12.6조업일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7.9% 증가한 21.4억달러* 일평균 수출 증감률(%):(2019.12)△7.3→(2020.1)+4.2→(2)△12.5→(3)△7.8→(4)△18.8→(5)△18.5…
1. 생산전산업생산은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에 비해 0.7%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줄어 0.6% 감소광공업생산은 자동차(-8.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반도체(7.2%), 전자부품(7.4%) 등이 늘어 전월에 비해 0.3% 증가*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 증가* 스마트폰 및 TV용 OLED 패널 생산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화학제품(-5.6%)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반도체(8.5%), 기계장비(8.3%) 등이 늘어 0.5% 증가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1.2% …
1. 생산전산업생산은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에 비해 2.3%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3.4% 증가광공업생산은 석유정제(-3.0%)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자동차(13.3%), 반도체(4.8%) 등이 늘어 전월에 비해 5.4% 증가* 신차 출시 및 북미 수출 증가 영향 등으로 생산 증가*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전자부품(-6.3%)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반도체(26.0%), 자동차(15.4%) 등이 늘어 8.0% 증가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10월 20일(화), 2020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는 중소기업 수출의 특징을 별도 분석한 ‘최근 중소기업 수출 동향 및 코로나19 영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고 밝혔다.2020년 3분기 기준 중소기업 수출은 25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했다. 미·중을 비롯해 상위 5개국 대부분의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화장품, 기타정밀화학제품 등 상위 20개 품목 중 13개 품목이 증가세를 보이며 2분기 13.6% 급감한 수출이 빠르게 회복됐다.특히…
1. 9월 수출입 개요(수출) 9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7.7% 증가한 480.5억달러* 수출 증감률(%):(2019.9)△11.9→(10)△15.0→(11)△14.5→(12)△5.3→(2020.1)△6.6→(2)+3.6→(3)△1.7→(4)△25.6→(5)△23.8→(6)△10.9→(7)△7.1→(8)△10.1→(9)+7.7조업일수 효과를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4.0% 감소(수입) 9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1% 증가한 391.7억달러에너지 가격 회복세로 원유(△27.8%)·LNG(△38.8%) 등 에너지 수입 감소폭이 크…
1. 생산전산업생산은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에 비해 0.1%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어 1.6% 감소광공업생산은 반도체(-4.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자동차(14.4%), 기계장비(6.0%) 등이 늘어 전월에 비해 1.6% 증가* 완성차 주요국 수출 증가 및 관련 자동차부품 생산 증가* 평판디스플레이제조용기계 등 패널 제조장비 생산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17.2%)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전자부품(-18.0%), 자동차(-9.3%) 등이 줄어 2.5% 감소제조업재고…
(광공업생산) 전국은 자동차, 전자부품(반도체제외)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5.1% 감소경기(3.2%)는 반도체, 기타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대구(-25.1%), 서울(-20.0%), 대전(-15.8%)은 자동차, 의복, 전자부품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운수·창고, 숙박·음식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3.4% 감소모든 지역에서 감소한 가운데, 제주(-12.9%), 인천(-11.6%), 부산(-5.6%)은 숙박·음식, 운수·창고 등의 생산이 줄어 전국평균보다 더 크게 감소(소매판매)…
1. 생산전산업생산은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에 비해 4.2%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 0.7% 증가광공업생산은 1차금속(-1.1%)에서 감소하였으나, 자동차(22.9%), 반도체(3.8%) 등이 늘어 전월에 비해 7.2% 증가* 주요국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수출 증가 및 내수 증가 영향* 서버용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 증가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23.9%)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자동차(-13.4%), 1차금속(-16.1%) 등이 줄어 0.5% 감소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1.4% 감…
(수출) 6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0.9% 감소한 392.1억달러로 전월 감소폭(△23.6%)보다 개선되며, 3개월만에 △10%대로 진입* 수출 증감률(%):(2019.6)△13.8→(7)△11.1→(8)△14.0→(9)△11.9→(10)△15.0→(11)△14.5→(12)△5.3→(2020.1)△6.6→(2)+3.5→(3)△1.6→(4)△25.5→(5)△23.6→(6)△10.9(수입) 6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1.4% 감소한 355.5억달러원유(△65.8%)·유연탄(△41.3%)·액화천연가스(△19.6%) 등 에너지 수입의…